사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전통미술공예학과 섬유 전공 석사 수료생 오세인이라고합니다.
15살에 인사동 한 갤러리에서 창가에 모시 조각보를 걸어놓은 걸 봤어요. 모시 조각보보다 창가에 비치는 그 햇빛과 바람결에 살랑이는 조각보의 모션에 마음이 홀려 규방 공예를 시작하게 됐어요. 15살 때부터 19살 때까지 주말마다 인사동에 가서 공예를 배웠어요. 그런데 남은 천을 이용해서 조각보를 만든다는 걸 알고 나니 한복 제작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더라고요. 전통 한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전통 한복을 깊게 배우고 싶다는 생각에 전통대 진학을 결정하게 되었어요.
2학년 때 자수를 배우기 전까지 한복을 만드는 게 너무 재밌었어요. 바느질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핏이 달라지고 어떻게 입고 걷느냐에 따라서 흩날리는 자락이 달라진다는 게 흥미로웠어요. 그런데 자수를 하다 보니까 자수 놓을 때 나는 톡톡 소리가 너무 좋은 거예요. 자수를 놓으면서 들리는 소리도 너무 좋은데 그 소리에 집중하면서 수를 놓다 보면 어느샌가 꽃문양 하나가 완성되어 있는 게 너무 즐겁더라고요. 또 같은 색감이어도 진한 색을 꽃잎 바깥쪽에 놓느냐 꽃잎 안쪽으로 놓느냥 따라서 느낌이 달라져요. 한복보다 자수가 더 다채로운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게 재밌었어요.
어릴 때부터 활발하고, 발랄하고, 밝다는 말을 많이 들었어요. 스스로도 활발하고 발랄하고 밝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많이 해요. 제가 평소에 성격이 활발하다 보니 색감도 밝은 색상을 많이 찾고 밝은 쪽으로 눈길이 가요. 많은 분이 제 작품을 보면 밝은 느낌을 많이 느낀다고 하시더라고요. 자수 선생님께서 항상 하시는 말씀이 자수를 놓을 때 그 마음가짐이 작품에서 드러난다고 하세요. 화가 난 상태에서 자수를 놓으면 자수 작품에도 화남이 느껴지고 편안한 마음에서 작업하면 작품을 볼 때 편안함이 느껴진다고 말씀하세요.